본문 바로가기
TECH

언더스코어(_)와 하이픈(-), 어떤 걸 써야 할까?

by 구반장 2025. 11. 11.
반응형

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블로그 글을 작성하다 보면 파일명이나 URL에 언더스코어(_)를 쓸지 하이픈(-)을 쓸지 고민하게 됩니다.

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는 두 기호지만, 검색엔진과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는 완전히 다르게 인식됩니다.

오늘은 이 두 기호의 차이점과 각각의 활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검색엔진이 보는 언더스코어와 하이픈

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은 하이픈(-)을 명확한 단어 구분자로 인식합니다.

반면 언더스코어(_)는 단어를 연결하는 용도로 작동해서, 여러 단어를 하나의 긴 문자열로 취급합니다.

예를 들어 URL이 marketing_plan_2025라면 검색엔진은 marketingplan2025라는 하나의 긴 단어로 인식합니다.

하지만 marketing-plan-2025로 작성하면 marketing, plan, 2025를 각각 독립된 단어로 인식하죠.

이 차이가 SEO 최적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

따라서 블로그 포스팅 URL이나 이미지 파일명에는 하이픈을 사용하는 게 검색 노출에 훨씬 유리합니다.

검색엔진이 내 콘텐츠를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프로그래밍에서는 언더스코어가 표준

코딩 환경에서는 상황이 다릅니다.

Python, JavaScript, Ruby 등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변수명과 함수명에 언더스코어를 사용합니다.

하이픈은 마이너스 기호(빼기)로 인식되기 때문에 변수명에 쓸 수 없습니다.

코드 에디터에서 작업할 때도 언더스코어가 편리합니다.

파일명을 더블클릭하면 전체가 한 번에 선택되어 복사와 붙여넣기가 쉽습니다.

하이픈을 사용하면 단어별로 나뉘어 선택되기 때문에 불편하죠.

결론적으로 프로그래밍 코드 안에서는 user_name, calculate_total처럼 언더스코어를 사용하는 게 업계 표준입니다.

파일명과 폴더명, 어떻게 정할까?

파일명과 폴더명을 정할 때는 용도에 따라 구분하면 됩니다.

웹에 공개하는 파일하이픈을 사용하세요.

블로그에 올리는 이미지, 다운로드용 PDF, 공개 문서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.

product-image-2025.jpg, press-release-company.pdf처럼 하이픈으로 구분하면 검색엔진이 파일 내용을 더 잘 이해합니다.

내부에서만 사용하는 파일언더스코어를 써도 괜찮습니다.

데이터 백업 파일이나 팀 내부 스크립트처럼 SEO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입니다.

data_backup_2025.csv, user_export_log.txt처럼 작성해도 문제없습니다.

참고로 Windows, macOS, Linux 등 모든 운영체제에서 하이픈과 언더스코어를 파일명에 사용할 수 있으니 호환성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
실무 적용 가이드

상황별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.

블로그와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URL 경로와 이미지 파일명에 하이픈을 사용하세요.

/blog-post-title/, product-image-2025.jpg처럼 작성하면 검색 노출이 훨씬 좋아집니다.

PDF 파일도 user-guide-2025.pdf처럼 하이픈으로 작성하는 게 유리합니다.

프로그래밍 작업을 한다면 변수명과 함수명에 언더스코어를 사용하세요.

user_name, calculate_total처럼 작성하는 게 언어 표준이고 가독성도 좋습니다.

도메인명에는 하이픈만 사용 가능합니다.

my-website.com처럼 작성할 수 있지만, 언더스코어는 도메인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.

팀 내부 데이터 파일언더스코어를 써도 됩니다.

data_export_2025.csv, backup_log_file.txt처럼 개발자가 편한 방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.

마무리하며

언더스코어와 하이픈은 용도가 명확히 다릅니다.

웹에 공개하는 콘텐츠는 하이픈으로 SEO를 챙기고, 프로그래밍 코드는 언더스코어로 개발 효율성을 높이세요.

두 기호의 특성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면 검색 노출과 작업 편의성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.

혹시, 아직도 헷갈리세요^^?

그러면 눈에 보이는 것은 하이픈, 눈에 안 보이는 것은 언더스코어로 이해해 보세요.

눈에 보이는 블로그, 웹사이트, 도메인, 일반 파일은 하이픈~

눈에 안 보이는 변수/함수명, 내부 데이터 피일은 언더스코어~

반응형

댓글